대한민국 국가대표 K-Culture 플랫폼, KEES

REAL KONNECT is coming!

About KEES

KEES (Korea Entertainment Education & Shopping)

KEES는 한류를 사랑하는 글로벌 유저들을 위해 만들어진 K-Culture Hub 플랫폼입니다.
KEES 플랫폼은 한국유저들과 해외유저들 모두에게 한국에 대한 문화적 경제적 교류의 장을 제공하고
한국어교육 및 K-커머스를 통한 도소매 형식의 한국상품 글로벌 판매 해외상품의 직구 등 다양한 수익모델을 제시합니다.

참여자 모두에게 다양한 형태의 즐거움과 혜택을 제공하며,
가입하는 모든 사람에게 K-Culture를 매개체로 다양한 문화적 경제적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.

KEES 플랫폼을 통해 세계인들이 한국인들을 만나고 한류 컨텐츠와 문화를 함께 즐기면서 한글도 배우며 한국의 뉴스와 정보를 듣고 한국의 상품을 구매하는 K-Metaverse, 'K-World'를 만들어 갑니다.

KEES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유저와 글로벌 유저가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가는 K-문화의 중심지이자 광장입니다.

KEES는 K-Culture와 K-상품의 글로벌 확산을 통해 대한민국 국가의 격과 글로벌 영향력을 한단계 더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시작되었으며,
태생적으로 글로벌 유저를 대상으로 하는 명실상부 “Global KOREA”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.

KEES Features

K를 주제로 한 글로벌 3C통합 플랫폼, KEES
(3C-Integrated Platform with the Theme of Korea)

  • K-contents

    [ K-영상컨텐츠 Hub ] K-POPㆍK-DramaㆍK-MovieㆍK-BeautyㆍK-NewsㆍK-HistoryㆍK-Documentary에 이르기까지, 큐레이션과 KEES-Original 영상들을 통해 K-영상콘텐츠 Hub를 만들어 나갑니다.

  • K-Commerce

    [ K-Contents와 K2G-Connected와 연동, 다양한 K-상품 소개 및 판매 ] 세계인들이 한국인과 비대면으로 교재하고 소통하고,한국문화를 느끼고 한국어를 배우면서 한국상품도 살 수 있습니다. K-Contents와 K2G-Connected와 통합이 되어 해외수출의 폭발적인 판로를 제공합니다.

  • K2G-Connected

    [ 한국인과 세계인 연결 ] Text, Voice, 그리고 Video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한국인과 세계인을 연결합니다. 한국 유저들과 글로벌 유저들이 다양한 형태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습니다. 우리는 이를 K2G-Connected라 부릅니다. (K2G : Korea To Global)

At last, K-Metaverse : K-World

[ K-월드 : 한류를 중심으로 현실과 가상 세계를 자유롭게 오고 가며 아바타를 통해 소통하고,
VR공간과 Kees Token을 통해 K-상품을 거래할수 있는 가상의 K-월드 ]

K-3C통합 플랫폼은 메타버스로 가상 세계화됩니다.
다양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각자의 아바타로 만나고 커뮤니케이션 합니다.
누구나 자신이 원하는 대로 글로벌 유저와 소통할 수 있고 K를 주제로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
메타버스 공간이 ‘K-World’입니다.

KEES Platform Technologies

  • Multi VoIP/Video Communication Solution

    Text, Voice, Video 공유, 문서 공유(White board), 한국어 한글 교육, 라이브방송

  • Graph DB, State Of The Art DB Tech

    유저간 네트워크 중심의 Database System Graph DB와 AI를 이용한 상품 검색 알고리즘, 개인별 상품 정렬 및 광고

  • K-Video Contents Search Engine

    글로벌동영상 플랫폼의 API 및 AI를 이용한 영상 검색엔진

  • Auto Recovery Lean Backend

    Platform 내에서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Transaction 처리 및 강력한 Security

  • Personal Asset Protection Focused Blockchain

    Personal Virtual Asset Protection과 Transaction Speed가 진보된 기술

  • Terraformed Metaverse Tech

    Terraforming된 가상공간에서의 다문화 유저간 소통, 가상 매장을 통한 상품판매

Structure of kees Token

kees 토큰은 한국어교육, K-유료 콘텐츠 및 상품 추천 등
다양한 참여자들의 인센티브 및 기여 PoC(Proof of Contribution)를 통한 채굴이 가능합니다.
 
일방적인 소비자로만 참여하는 것이 아닌 직접적으로 콘텐츠 생산 및 V-commerce를 통해
토큰 이코노미(Token economy)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.

The KEES

KEES 앱 실행화면 이미지
K를 중심으로 만들어가는 글로벌 생태계, The KEES

글로벌 유저들이 한국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K-월드.
K를 중심으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K-컨텐츠에서 K-상품까지,
특별한 경험이 다가옵니다. The KEES!

“세계 속의 한국, 한국 속의 세계를 느낄 수 있는
블록체인과 메타버스 기반의 K-월드”

kees Token Distribution

발행량 10,000,000,000 (100억개)
token disrtibution
  • 콘텐츠 수급

  • 리워드 풀

  • 플랫폼 활성화

  • 리저브

  • 어드바이저

배분 토큰 수량 배분율
콘텐츠 수급 3,000,000,000 30%
리워드 풀 1,500,000,000 15%
플랫폼 활성화 1,500,000,000 15%
리저브 2,000,000,000 20%
어드바이저 500,000,000 5%
1,500,000,000 15%

History

Development Team

  • 김 태 준

    CEO

  • 김 형 돈

    사업기획 및 PR, IR director

  • 권 용

    General Producer

  • 허 재 영

    CTO

  • 이 태 환

    Communication Manager

  • 김 현 곤

    IT Service Planner

  • 강 영 우

    Developer

  • 김 호 성

    Developer

  • 최 민 호

    Developer

  • 하 현 수

    Developer

  • 최 병 민

    Developer

  • 이 재 범

    UI/UX Designer

Partners

  •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
  •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
  • Ministry of Sciendce and ICT
  • COMOTION
  • Crosslesson
  • Doongle
  • D'LIGHT Saw Group
  • Facebook
  • Grant Thornton
  • KIC
  • KOCCA
  • K-STAR LIVE
  • MONEY STATION
  • NIPA
  • Seoul XR Startups
  • VENTURE SQUARE
  • 법무법인 우리
  • none